술 마실 때 얼굴이 빨개지는 사람은 대장 내시경 검사를 자주 받아야 할 것 같다.
술 마실 때 얼굴이 빨개지는 사람들은 보통 사람에 비해 대장암 발병률이 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조선닷컴이 10일 보도했다.
신문은 한림대 의대 사회의학교실 김동현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최근 열린 서울국제암심포지엄에서 발표한 논문을 인용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1995년부터 2004년까지 대장암으로 진단받은 1290명과 정상인 1061명을 조사한 결과, 간에서 알코올의 대사 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를 잘 분해하지 못하는 사람의 대장암 발병 위험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6배 높았다고 밝혔다.
김동현 교수는 논문에서“아세트알데히드를 잘 분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술을 한 두 잔만 먹어도 얼굴이 금방 빨개진다. 아세트알데히드 분해가 잘 되지 않으면 대장암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등 문제가 발생한다”고 말했다. 아세트알데히드는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분류한 발암물질이다.
이들은 얼굴이 빨개지는 것 외에도 다음 날 머리가 아프고 구토가 나는 등 숙취가 심할 수 있다. 아세트알데히드를 잘 분해하지 못하는 유전형은 한국인의 약 16%로 서양인의 1~5%보다 훨씬 많은 편이다.
얼굴이 잘 빨개지는 이유는 간에서 알코올의 대사 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를 잘 분해하지 못하거나 술 자체가 혈관을 확장하기 때문이다.
아세트알데히드는 체내 엽산도 파괴한다. 엽산은 DNA를 만드는 원료로, 부족하면 DNA 변이를 막아주지 못해 암 발병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디지털뉴스 jdn@joins.com
술 마실 때 얼굴이 빨개지는 사람들은 보통 사람에 비해 대장암 발병률이 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조선닷컴이 10일 보도했다.
신문은 한림대 의대 사회의학교실 김동현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최근 열린 서울국제암심포지엄에서 발표한 논문을 인용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1995년부터 2004년까지 대장암으로 진단받은 1290명과 정상인 1061명을 조사한 결과, 간에서 알코올의 대사 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를 잘 분해하지 못하는 사람의 대장암 발병 위험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6배 높았다고 밝혔다.
김동현 교수는 논문에서“아세트알데히드를 잘 분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술을 한 두 잔만 먹어도 얼굴이 금방 빨개진다. 아세트알데히드 분해가 잘 되지 않으면 대장암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등 문제가 발생한다”고 말했다. 아세트알데히드는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분류한 발암물질이다.
이들은 얼굴이 빨개지는 것 외에도 다음 날 머리가 아프고 구토가 나는 등 숙취가 심할 수 있다. 아세트알데히드를 잘 분해하지 못하는 유전형은 한국인의 약 16%로 서양인의 1~5%보다 훨씬 많은 편이다.
얼굴이 잘 빨개지는 이유는 간에서 알코올의 대사 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를 잘 분해하지 못하거나 술 자체가 혈관을 확장하기 때문이다.
아세트알데히드는 체내 엽산도 파괴한다. 엽산은 DNA를 만드는 원료로, 부족하면 DNA 변이를 막아주지 못해 암 발병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디지털뉴스 jdn@join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