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퓨젼리더십

유머를 일상화 하자

 

"세상에 웃는 것보다 더 소중한 것은 없다. 하지만 웃음은 저절로 오는 게 아니다. 우리가 웃음 곁으로 자주 가야 한다. 친구 하나라도 엔돌핀을 돌게 해주는 사람을 자주 만나라" 지금은 고인이 된 유명한 개그맨 김현곤씨의 말이다.  "유머는 기쁨이 아니라 언제나 슬픔에서 나온다. 따라서 천국에는 유머가 없는 셈이다." 물질문명을 혐오한 미국 작가 마크 트웨인의 말이다. 영국 극작가 세익스피어는 "재담이 성공하고 못하고는 듣는 사람 귀에 달렸지 말하는 사람에 의해 좌우되는 것은 아니다."라는 뼈있는 말을 남겼다.사람을 웃기는 방법과 소재는 문화권에 따라 가지각색일 수밖에 없다. 정서적 토양과 환경이 다르기 때문이다

 

얼마 전 체니 부통령의 엽총 오발사고 때 코미디언 데이비드 레터맨이 "대량살상무기를 찾았다. 바로 딕 체니"라고 하자 제이 레노는 "워싱턴에 눈이 많이 오니깐 그 뚱보를 북극곰인 줄 알았나 보죠"라고 맞받은 일이 있었다.

 

 이같이 유머가 일상화되려면 그 근본은 마음의 여유에서 찾아야 할 것 같다. 마음속의 풍요가 없는 사람은 진실된 유머가 나오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신윤복의 풍속도에서 보듯 한국인의 유머감각은 뿌리가 원래 깊다. 다만 그 후에 각박함과 궁핍, 산업사회의 쫓김 등의 소용돌이 속에서 마음의 여유를 잃게 된 것뿐이다. 다시 우리 마음속 깊이 숨어 있는 유머감각을 끌어내 기쁨과 웃음을 주고받아야 할 때가 온 것 같다.

 

소문 만복래(笑門 萬福來) 웃는 집 대문으로 만가지 복이 온다라는 문구를 선조들은 참 좋아 했나 보다. 요즘처럼 봄이오면 대문에 입춘대길과 함께 나란히 대구를 이룬 것을 보면 말이다. 그런데 그 유머가 어느 순간 단절이 되었다. 가부장적 사고 그리고 일제의 침략 등 요인은 많을 것이다.

 

 집안의 쌀독에서 인심이 나듯 마음의 여유에서 유머가 난다고 본다면 '울지 못해 웃는다' '웃음 속에 칼이 있다'는 등의 부정적 한국 속담과 아 아 웃고 있어도 눈물이 난다라는 유행가 가사처럼 우연이 아닐런지도 모를 일이다

 

. 다만 유머는 이렇듯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의 코드나 주파수가 맞아야 하고 국민정서의 시기적 흐름을 무시했다간 큰코다치기도 한다. 유머는 일방통행이 아니라 마음의 쌍방통행이다. 주고받는 유머가 진짜 유머다유머의 토양은 이런 관계에서만 성숙하며 그런 유머를 지향해 한발 한 발 나가야 한다.

 

유머는 어려운 환경을 여유 있게 극복하려는 지혜로운 사람들의 철학입니다.
따라서 유머를 아는 사람들은 훌륭한   사람들입니다.   그러나   유머는 하나의 감각입니다
.
유머를 잘 구사 할 수 있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유머감각이 부족한 사람들도 있고
,.
유머 감각이 부족해도 자기자신을 지혜롭게 콘트롤 하며, 세상을 극복하는 사람들도 있다